우주소식정보
화성 탐사와 역사 본문
혹시 영화 마션을 보셨나요? 마션을 보시면 화성에 대한 궁금증이 생길수 밖에 없는데요.영화나 소설의 재료로 사용되기도 하는 태양계의 행성들에 가장 관심을 기울이는 행성은 화성으로 알려져 있어요. 화성은 지구 가까이에 있는 행성으로, 다양한 에피소드들로 생명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 뿐만 아니라 신비스러운 것도 가져다 주었답니다. 이러한 관심은 마리너 6, 7, 8, 9, 바이킹 1, 2와 같은 많은 우주선에 의한 화성 탐사를 유도했고, 제2의 지구와 화성에 대한 풍부한 자료를 수집함으로써 화성 탐사에 많은 진전을 가져온 것으로 알려졌어요. 두 번째 화성은 어떻게 생겼을까요? 화성의 대기압은 중력 때문에 지구 대기의 약 0.75%에 불과하다. 화성의 대기는 매우 희박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지구 표면 근처의 대기압은 0.006 기압이며 지구의 0.75%에 불과하다는 것인데요. 이 희미한 대기는 그것의 작은 중력 때문으로 화성 대기의 구성은 약 95%의 이산화탄소, 약 3%의 질소, 1.6%의 아르곤 및 기타 소량의 산소와 수증기를 포함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것은 금성과 매우 유사한 대기 구조임을 보여 줍니다. 하지만 금성과 비교하면 대기가 매우 얇아서 금성과 같은 온도를 유지할 수 없다고도 하는데요. 2003년 지구망원경으로 관찰한 것은 화성 대기 중 메탄의 가능성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그 후, 2004년 화성 익스프레스 조사 결과 메탄의 존재가 확인된 것을 계기로 화성에 메탄이 있다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메탄이 빠르게 사라진 화성 환경에서 발견되었다는 사실은 그것이 어느 곳에서나 (또는 적어도 지난 100년 동안) 보충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가스의 원인은 화산 활동, 혜성 충돌, 그리고 미생물의 가능성 때문이지만, 아직 확인되지 않았어요. 화성의 극지방에는 평균 표면 온도가 -80°C인 얼음관이 있는데요. 화성의 대기는 매우 흔들릴 수 있다고 합니다. 겨울에 극지방의 밤이 계속되면, 표면은 매우 차가워지고 대기의 약 25%가 얼어 대기압이 낮아지게 되는데요. 나중에 태양이 극지방에 다시 비추면 얼어붙은 이산화탄소는 상승할 것이고 극지방에서 강한 바람을 일으키게 되며 생성된 강한 바람은 화성에서 먼지를 운반하게 됩니다. 이 현상을 '폭풍'이라고 부르는 데요. 이것은 화성에서 보는 방식을 변화시킨다고 합니다. 화성의 표면 온도는 약 -140~20°C이며, 평균 온도는 약 -80°C를 보여 주기도 합니다. 이 저온 현상은 화성의 대기가 희박하고 더위를 견딜 수 없기 때문에 일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도 합니다. 낮은 온도 때문에 화성의 극지방에서 얼음관도 사용될 수 있는데요. 이러한 화성의 밝은 얼굴과 어두운 두 얼굴은 두 가지 큰 특징으로 나뉘어 진다고 합니다. 북반구는 용암강에 의해 형성된 평면을 가지고 있으며 (북한 평면의 형성에 의해 많은 양의 물이 익사된 것으로 추정), 남반구는 운석 충돌에 의해 흔들렸거나 많은 분화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지구 상에서 볼 수 있는 화성의 표면은 두 가지 종류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 면의 밝기는 서로 다르다. 밝은 평야는 많은 붉은 산화 기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먼지와 모래로 덮여 있답니다. 또한, 아랍 대륙 또는 아마존 들판이라고 불릴 뿌만 아니라 반면, 어두운 지역은 에리트리아 바다(마레 에리트리아, 라틴어 적해), 세레나 바다(마레 시리아)와 오로라 신너스 바다(오로라 신무스)로 불린다고 하네요. 그리고 화성의 표면은 현무암과 안산암으로 이루어져 있답니다. 이 두 개의 돌들은 지구의 표면 근처에 마그마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산화 규소의 양에 의해 구별되는 지구 상의 돌들이라고 해요. 화성의 대부분은 미세먼지로 덮여 있다고 해요. 화성의 대부분은 산화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매우 붉은색으로 보인다고 해요. 화성의 표면으로 보이는 화성의 극지대에 물이나 이산화탄소와 같은 차가운 파이프가 있는데, 이 파이프는 화성의 계절에 따라 달라진다고 해요. 이산화탄소는 여름에 생성되고, 표면은 돌처럼 되고, 겨울에는 돌처럼 다시 만들어지낟고 해요. 그리고 물 속의 얼음은 여름에도 극장에서 계속 얼어붙었다고 해요. 화성의 올림푸스 민트 산은 약 25km 높이이며 태양계에서 가장 높은 산이랍니다. 이 산은 타리스 고원이라는 큰 언덕에 위치해 있다고 하네요. 화성에는 태양계에서 가장 큰 협곡인 베일스 마리너리스도 있으며, 이 협곡의 길이는 약 3이다.3,000km, 깊이는 약 8km, 폭은 약 500km입답니다. 화성은 또한 많은 분화구를 가지고 있는데, 그중 가장 좋은 것은 밝은 붉은 모래로 뒤덮인 산이답니다. 화성의 반경은 약 3,400km, 절반이다. 화성에서는 오랜 시간부터 인간개척을 하기 위한 인간의 꿈일 수 밖에 없답고 해요. 오랜시간 그래서 탐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많은 역사적 사실로 확인을 할 수가 있답니다. 매년 화성탐사를 통해서 물이 흐르는 흔적이나 생명의 흔적을 찾기 위한 시도가 많이 이어지고 있는 실정으로 미국이나 전 세계에서는 22세기에는 화성 이주 실험과 함께 정착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여 진다고 하네요. 현재 남극에서 많은 세계 여러 국가에서 탐사를 위해 기지를 만들고 연구를 하고 있는 것이 멀리 보았을 때 화성에도 그러한 형태로 이루어지다가 사람들이 태어나고 기후를 우리 지구의 힘으로 컨트롤이 된다면, 정착을 하는 것도 머지 않아 이루어 질 수 밖에 없는 명백한 사실일 듯 보여 진답니다. 아직은 먼 공상과학 같은 이야기로 들려 질지 모르지만, 현재 자율 주행등 스마트폰을 누구나 사요하는 현신을 생각한다면 머지 않은 이야기라고 생각이 되어 진다고 합니다. 이제부터 누구나 화성을 꿈꾸며 많은 사람들의 꿈과 희망이 화성 정착까지 그리고 제 2의 지구가 되어 우리들에게 다가 오기를 기원해보도록 해요. 화성의 다양한 모습을 기억하면서 언젠가 우주를 향해 많은 과학자들의 노력으로 반드시 이루어 내리라 기대가 됩니다. 많은 나라에서 도전하는 만큼 화성에서 제 2의 지구로 발전된 모습을 반드시 우리들도 볼 수 있기를 기대해요.
'우주 정보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왕성 내부구조와 그 발견 (0) | 2021.03.21 |
---|---|
수성 내부 구조와 신화 (0) | 2021.03.18 |
천왕성 구조와 역사 (0) | 2021.03.16 |
태양 내부 구조 모습 (0) | 2021.03.15 |
목성 정보와 역사 (0) | 2021.03.14 |